Cross Browsing
Cross Browsing이란?
크로스 브라우징(Cross-Browsing)은 웹 개발에서 웹사이트나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 일관되게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. 각 웹 브라우저는 HTML, CSS, JavaScript 등의 웹 기술을 해석하고 렌더링하는 방식이 조금씩 다를 수 있기 때문에, 특정 브라우저에서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웹 페이지가 다른 브라우저에서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.
크로스 브라우징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여, 사용자가 어떤 브라우저를 사용하든 동일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. 이를 위해 웹 개발자들은 다양한 브라우저(예: Chrome, Firefox, Safari, Edge 등)에서 웹 페이지를 테스트하고, 브라우저 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사용한다.
중요한 것은 크로스브라우징이 모든 브라우저에서 ‘100% 똑같이’ 보이도록 만드는 ‘동일성’이 아닌, ‘동등성(등가성)’을 의미한다는 것이다. 크로스브라우징은 특정 브라우저/기기 환경에 최적화되지 않고, 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으로 다양한 환경으로부터 동등한 수준의 정보, 기능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.
크로스 브라우징을 위한 기법
1. 표준 준수 코드 작성
웹 표준은 웹 기술의 호환성과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W3C(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)에서 정한 규칙이다. HTML, CSS, JavaScript 등은 모두 특정 표준을 따른다. 웹 표준을 준수하여 코드를 작성하면,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코드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렌더링할 가능성이 높아진다.
- HTML5: 현대 웹 개발에서 사용되는 HTML 표준으로, 문서의 구조와 콘텐츠를 정의한다. HTML5를 준수하여 코드를 작성하면 더 많은 브라우저에서 일관된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.
- CSS3: 최신 CSS 표준으로, 스타일과 레이아웃을 정의한다. CSS3는 모던 브라우저에서 널리 지원되며, 이를 준수하면 스타일링 호환성이 높아진다.
- ES6+: 최신 자바스크립트 표준(ECMAScript 6 이상)으로, 모던 브라우저에서 지원되는 자바스크립트의 문법과 기능들을 사용하면 코드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.
2. 폴리필(Polyfill) 사용
폴리필은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이전 브라우저에서 최신 기능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코드 (일반적으로 웹의 JavaScript)이다. 예를 들어, 최신 자바스크립트 문법이나 API를 사용하고 싶지만, 이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를 위해 폴리필을 추가할 수 있다.
1
2
3
4
5
// 예시
const array = [1, 2, 3, 4, 5];
console.log(array.includes(3)); // true
console.log(array.includes(6)); // false
예를 들어 Array.prototype.includes 메서드는 ES6에서 추가된 기능이다. 이를 지원하지 않는 구형 브라우저에서는 폴리필을 통해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if (!Array.prototype.includes) {
Array.prototype.includes = function(searchElement, fromIndex) {
// fromIndex가 없거나 0보다 작은 경우 0으로 설정
if (fromIndex == null) {
fromIndex = 0;
} else {
fromIndex = Math.max(fromIndex, 0);
}
// 배열의 각 요소를 순회
for (let i = fromIndex; i < this.length; i++) {
// NaN도 포함 여부를 정확히 체크하기 위해
if (this[i] === searchElement || (searchElement !== searchElement && this[i] !== this[i])) {
return true;
}
}
return false;
};
}
이와 같은 개별 폴리필을 일일이 작성하는 대신, core-js, babel-polyfill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수많은 폴리필을 손쉽게 관리하고 적용할 수 있다. 이러한 라이브러리는 자주 사용되는 최신 자바스크립트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어, 다양한 기능을 구형 브라우저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.
- core-js: 모듈화된 폴리필 라이브러리로, 필요한 폴리필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.
- babel-polyfill: Babel 트랜스파일러와 함께 사용되며, 최신 자바스크립트 문법과 기능을 구형 브라우저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.
3. CSS 리셋 또는 Normalize.css 사용
브라우저마다 HTML 요소에 대해 기본적으로 설정된 스타일이 다를 수 있다. 이러한 차이를 없애기 위해 CSS 리셋 또는 Normalize.css 같은 스타일시트를 사용한다.
CSS 리셋: 모든 브라우저의 기본 스타일을 제거하여 일관된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게 해준다. Eric Meyer의 CSS 리셋이 대표적인 예이다.
Normalize.css: 기본 스타일을 제거하는 대신, 브라우저 간 차이를 줄이면서도 기본적인 브라우저 스타일을 유지하는 스타일시트이다. Normalize.css는 브라우저의 기본 스타일을 조정하여 크로스 브라우징 이슈를 해결한다.
4. 테스트 자동화 도구 사용
크로스 브라우징을 위해 웹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테스트하는 것은 필수적이다. 이 작업을 수동으로 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비효율적일 수 있으므로, 자동화 도구를 사용하면 더 효율적이다.
Selenium: 오픈 소스 브라우저 자동화 도구로,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. 테스트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여러 브라우저에서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.
WebDriver: Selenium의 핵심 컴포넌트로, 각 브라우저를 제어하여 테스트를 수행한다.
BrowserStack: 클라우드 기반의 크로스 브라우징 테스트 도구로, 실제 브라우저 환경에서 테스트를 할 수 있다. 다양한 브라우저와 운영체제를 지원하여 실시간 테스트가 가능하다.
Lighthouse: 구글 크롬에 내장된 도구로, 웹사이트의 성능, 접근성, SEO, 크로스 브라우징 등의 이슈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안해준다.
이러한 기법들을 통해 다양한 브라우저와 디바이스에서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, 크로스 브라우징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.